생년월일과 기준일을 입력하면 기준일 기준 만나이를 계산합니다.
🧾 만나이, 한국식 나이, 연 나이 — 헷갈리는 나이 정리
✅ 만나이란 무엇인가요?
만나이(국제표준나이)는 생일이 지났는지 여부에 따라 나이를 계산하는 방식입니다.계산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만나이 = 기준 연도 - 출생 연도
단, 생일이 아직 지나지 않았다면 1살을 뺍니다.
예를 들어, 1990년 8월 15일생이 2025년 8월 4일 기준이라면 → 생일이 안 지났으므로 2025 - 1990 - 1 = 34세
전 세계 대부분의 나라에서 만나이를 사용하고 있으며, 의료기록, 법적 문서, 여권 등에 사용됩니다.
🇰🇷 한국식 나이(세는 나이)와 연 나이란?
- 만나이: 생일이 지났는지에 따라 0 또는 1세부터 시작
- 한국식 나이 (세는 나이): 태어난 해를 1살로 시작, 해가 바뀌면 +1
- 연 나이: 출생 연도 기준으로 현재 연도에서 뺌
- 만나이:
34세
- 세는 나이:
36세
- 연 나이:
35세
⚖️ 한국 법령 변경 내역 (2023년 6월 28일 시행)
2023년 6월 28일부터 대한민국에서는 모든 법령상 나이를 ‘만 나이’로 통일하였습니다.- 민법, 행정기본법 개정으로 모든 법률/행정 서비스에서 만나이 사용
- 병역, 청소년보호법 등 대부분의 제도도 만나이 기준으로 정비
- 생일 기준으로 나이가 바뀌므로 정확한 생년월일 필요
📍 만나이를 왜 도입했을까요?
- 국제 기준과의 통일 — 여권, 외국 서류와의 일관성
- 행정 효율성 증가 — 나이 기준 혼란 감소
- 생활 속 혼동 해소 — 같은 나이인데도 1~2살 차이 문제 해결
💡 생활 속 예시
- 보험가입, 의료기록 등에서 정확한 연령 기준 적용
- 청소년 할인 → 만 18세 기준으로 명확 구분
- 운전면허, 병역, 선거권 등 공공 제도에서 일관된 기준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