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산기 & 툴계산기 & 툴
직장

🗓️
연차 유급휴가 계산기

입사일 또는 회계연도를 기준으로 연차 유급휴가 발생 일수를 계산해주는 도구입니다. 근로기준법 제60조를 반영하여 1년 미만/이상/가산 연차까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입사일을 기준으로 현재까지 발생한 연차 유급휴가를 계산합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연차 유급휴가란?

연차 유급휴가는 일정 기간 성실히 근무한 근로자에게 주어지는 유급 휴가입니다. 근로기준법 제60조에 따라 부여되며, 입사 1년 미만 근로자는 월 1일, 1년 이상은 기본 15일, 3년 이상부터는 2년마다 1일씩 가산되어 최대 25일까지 주어집니다.

근로기준법 제60조 (연차 유급휴가)

① 사용자는 1년간 80퍼센트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 15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개정 2012. 2. 1.>
② 사용자는 계속하여 근로한 기간이 1년 미만인 근로자 또는 1년간 80퍼센트 미만 출근한 근로자에게 1개월 개근 시 1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개정 2012. 2. 1.>
③ 삭제 <2017. 11. 28.>
④ 사용자는 3년 이상 계속하여 근로한 근로자에게는 제1항에 따른 휴가에 최초 1년을 초과하는 계속 근로 연수 매 2년에 대하여 1일을 가산한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이 경우 가산휴가를 포함한 총 휴가 일수는 25일을 한도로 한다.
⑤ 사용자는 제1항부터 제4항까지의 규정에 따른 휴가를 근로자가 청구한 시기에 주어야 하고, 그 기간에 대하여는 취업규칙 등에서 정하는 통상임금 또는 평균임금을 지급하여야 한다. 다만, 근로자가 청구한 시기에 휴가를 주는 것이 사업 운영에 막대한 지장이 있는 경우에는 그 시기를 변경할 수 있다.
[시행 2025. 2. 23.] [법률 제20520호, 2024. 10. 22., 일부개정]
- 출처: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바로가기

입사일 기준 vs 회계연도 기준 — 내 연차는 어떻게 계산되나요?

연차 유급휴가는 회사마다 입사일 기준 또는 회계연도 기준 중 하나로 지급돼요. 두 방식은 각각의 장단점이 있기 때문에, 어떤 기준을 쓰는지에 따라 내가 받는 연차 일수나 소멸 시점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입사일 기준
대부분의 회사에서 많이 쓰는 방식입니다. 입사일을 기준으로 1년마다 연차가 부여되기 때문에, 내 연차는 나만의 사이클을 가지고 있습니다.
  • 근로기준법 계산 방식 그대로 반영됩니다.
  • 퇴사할 때 별도로 연차 정산 계산할 필요가 거의 없습니다.
  • 다만, 동료들과 연차 소멸일이 다 달라서 일괄 촉진이나 관리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회계연도 기준
모든 직원에게 매년 1월 1일에 연차를 일괄 지급하는 방식입니다. 대기업이나 조직 규모가 큰 곳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 모두 같은 날 연차가 생기고 사라지기 때문에 관리가 쉽습니다.
  • 연차 촉진이나 미사용 수당 정산을 한꺼번에 처리할 수 있습니다.
  • 다만, 중간에 입사한 경우에는 비례 계산이 들어갑니다. 입사일 기준보다 적게 받을 수도 있어서, 그 차이는 수당으로 보전됩니다.
- 연차 지급 기준은 회사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HR 담당자나 사내 시스템에서 내 연차 지급 기준을 꼭 확인하세요.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