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산기 & 툴계산기 & 툴
단위

🏗️
건폐율 계산기

대지면적과 건축면적을 입력하여 건폐율(%)을 계산하는 도구입니다.
건폐율은 대지면적 대비 건축면적의 비율을 나타내며, 건축법에서 정한 한도 내에서 건축할 수 있는 면적을 판단할 때 중요한 지표입니다.

건폐율이란?

건폐율은 대지면적 대비 건축면적의 비율을 말하며, 「건축법」 제55조에서 규정하고 있습니다. 건축면적은 대지에 건축물이 둘 이상 있는 경우에는 이들 건축면적의 합계를 의미합니다.
건폐율 - 대지면적에 대한 건축 면적의 비율

건폐율 계산 공식

건폐율(%) = (건축면적 ÷ 대지면적) × 100
예: 대지면적 500㎡, 건축면적 250㎡ → 건폐율 = (250 ÷ 500) × 100 = 50%

용도지역별 건폐율 기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36조, 제77조 및 시행령 제84조에 따라, 용도지역별 건폐율 최대 한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 주거지역
    • 제1·2종 전용주거지역: 50% 이하
    • 제1·2종 일반주거지역: 60% 이하
    • 제3종 일반주거지역: 50% 이하
    • 준주거지역: 70% 이하
  • 상업지역
    • 중심상업지역: 90% 이하
    • 일반상업지역: 80% 이하
    • 근린상업지역: 70% 이하
    • 유통상업지역: 80% 이하
  • 공업지역
    • 전용·일반·준공업지역: 70% 이하
  • 녹지지역
    • 보전·생산·자연녹지지역: 20% 이하
  • 관리지역
    • 보전·생산관리지역: 20% 이하
    • 계획관리지역: 40% 이하
  • 농림지역 / 자연환경보전지역: 20% 이하

건폐율 예외 규정

일부 지역 및 상황에서는 건폐율 한도가 완화될 수 있습니다.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77조제3항·제4항에 따라 예외적으로 다음과 같은 범위까지 허용됩니다.
  • 취락지구: 60% 이하
  • 도시지역 외 개발진흥지구: 40% (계획관리지역 내 산업·유통개발진흥지구는 60%)
  • 자연공원: 60% 이하
  • 농공단지: 70% 이하 (기반시설 확보 시 80% 이하)
  • 국가·일반·도시첨단산업단지, 준산업단지: 80% 이하
  • 방화지구 내 내화구조 건축물: 80~90% 범위 내
  • 방재지구 내 재해예방시설 설치 건축물: 해당 용도지역 건폐율의 최대 150%까지

건폐율 위반 시 제재

규정된 건폐율을 초과하여 건축할 경우,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133조에 따라 허가 취소, 공사 중지, 건축물 개축·이전 등의 행정처분을 받을 수 있습니다.

건폐율과 용적률의 차이

  • 건폐율: 대지면적 대비 건축면적의 비율
  • 용적률: 대지면적 대비 연면적의 비율
건폐율은 건물 배치와 대지 여유 공간 확보에, 용적률은 전체 건축 규모와 층수 계획에 직접적인 영향을 줍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