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량, 용도, 계절을 입력하면 고지서 기준 예상 전기요금을 계산합니다.
* 본 계산기는 한전 전기요금표를 참고했습니다. 실제 고지서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전기요금 구조 안내
전기요금은 단순한 사용량 기반 계산이 아닌, 다양한 항목이 더해져 최종 청구금액이 산정됩니다.
1. 기본 구조
전기요금은 다음과 같은 항목의 합으로 구성됩니다.
- 기본요금 — 계약 용도와 구간에 따라 고정 부과
- 전력량요금 — 사용 전력량에 따라 구간별 단가 적용
- 기후환경요금 — 청정에너지 전환을 위한 부과 요금
- 연료비조정요금 — 연료비(석탄, 천연가스 등) 변동을 반영
2. 기후환경요금이란?
기후환경요금은 깨끗하고 안전한 에너지 제공을 위한 비용으로, RPS(신재생에너지 의무공급), ETS(배출권 거래제), 석탄발전 감축 등의 항목에 사용됩니다.
📌
📌
기후환경요금 = 사용량 × 9.00원/kWh
3. 연료비조정요금이란?
연료비조정요금은 국제 연료비의 변동분을 반영하여 분기별로 단가가 조정됩니다.
상·하한은 ±5.00원/kWh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
상·하한은 ±5.00원/kWh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
연료비조정요금 = 사용량 × 5.00원/kWh
(2024년 7월 기준)4. 최종 청구금액
전기요금(기본 + 전력량 + 기후환경 + 연료비조정)에 아래 항목이 더해져 최종 청구금액이 결정됩니다.
📌
- 부가가치세 (10%) — 전기요금 총액의 10%, 원 미만은 4사 5입으로 반올림
- 전력산업기반기금 (2.7%) — 전기요금 총액의 2.7%, 10원 미만 절사
📌
최종 청구금액 = 전기요금 합계 + 부가세 + 전력산업기반기금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