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변 나트륨(Urine Na), 소변 크레아티닌(Urine Cr), 혈청 크레아티닌(Serum Cr)을 입력하면 RFI를 계산해 전신성(Prerenal) 또는 신내(Intrinsic renal) 원인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RFI란?
RFI(Renal Failure Index, 신부전지수)는 급성 신손상(AKI)의 원인 감별을 위한 중요한 지표로, 소변과 혈액 내 나트륨 및 크레아티닌 농도를 이용해 계산합니다.
계산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계산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RFI = Urine Na ÷ (Urine Cr ÷ Serum Cr)결과 해석
- RFI < 1: 전신성(Prerenal) 요인 가능성이 높음 — 탈수, 저혈량, 심부전 등
- RFI > 1: 신내(Intrinsic renal) 요인 가능성이 높음 — 급성 세뇨관괴사(ATN) 등
- RFI = 1: 경계 영역으로, 임상적 상황과 추가 검사 결과를 함께 해석해야 함
임상적 의의
급성 신손상(AKI) 환자에서 RFI는 요인 감별(전신성 vs 신내성)에 유용합니다. 전신성 신손상(Prerenal AKI)에서는 신장이 나트륨을 보존하기 때문에 RFI가 낮게 나타나고, 신내성(Intrinsic AKI)에서는 손상된 세뇨관이 나트륨 재흡수를 제대로 수행하지 못해 RFI가 높게 나타납니다.
주의사항
- RFI는 이뇨제를 복용 중인 경우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항상 혈액 검사, 요검사, 임상 병력 등과 함께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합니다.
- 본 계산기는 의료 상담이나 진단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